티스토리 뷰

반응형

K-패스

 

☑️ K-패스 카드란?

 

K패스는 기존 알뜰 교통카드 사업을 대체하는 사업으로 회원가입을 한 뒤 전용 카드를 사용해 월 15회 이상 대중교통을 이용하면 일정 이용금액을 돌려주는 사업입니다. 이 카드는 대중교통을 많이 사용하는 사람들에게 큰 혜택을 주고, 특히 저소득층에게 큰 혜택이 될 수 있습니다. 또한 시내버스와 광역버스는 물론, 지하철과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GTX도 적용 대상입니다. 최대 53%까지 환급받을 수 있는 k-패스를 신청하지 않을 필요가 없습니다.

 

 

 

☑️ K패스 장점

 

  1. 대중교통비 절감 : 사용자는 대중교통비용의 최대 53%까지 환급받을 수 있음
  2. 다양한 활용성 : 시내버스, 마을버스, 지하철, GTX 등 다양한 대중교통 수단을 사용 가능함
  3. 자동충전 기능 : 교통카드의 잔액이 일정수준 이하로 떨어지면 자동으로 충전됨
  4. 파트너십을 통한 추가 혜택 : 주요 카드사와의 협력을 통해서 모바일 결제시 추가 할인 등의 혜택 제공
  5. 사용자별 포괄적 혜택 제공 : 청년, 저소득층에게 더 높은 환급률을 제공하여 교통비 부담을 줄임

 

☑️ K패스 환급 혜택, 추가 혜택

 

K패스를 이용하면 일반 성인은 이용금액의 20%, 청년층(만 19세~34세) 30%, 저소득층은 53%를 환급받을 수 있습니다. 이는 월 평균 대중교통비로 계산했을 시 따지면 17만원에서 44만원의 절감 효과를 누릴 수 있습니다. 

K패스 혜택

 

각 카드사별로 추가되는 혜택이 다릅니다. '신한 k-패스'는 기본 환급혜택에 10%를 추가로 제공하며, 모바일 결제 시 추가 할인도 제공합니다. 삼성페이, 네이버페이, 카카오페이, 쏠페이, 쿠페이 등 간편결제 이용시에도 5%나 할인해줍니다. 이 외에도 배달의 민족이나 요기요 등의 배달앱, 스타벅스, 메가커피 등 커피전문점이나 편의점, 올리브영, OTT, 이동통신요금, 병원에서도 5% 할인됩니다. 

 

☑️ K패스 교통카드 신청 방법

 

1. 기존 알뜰 교통카드 이용자

알뜰 교통카드 홈페이지나 앱에서 K패스 회원전환시에 사용중인 알뜰 교통카드와 계정 그대로 K패스에서 이용이 가능합니다. 

✔️ 전환은 6월 30일까지 홈페이지에서 전환 가능

✔️ K패스 적용 : 5월 1일(수) 이용내역부터 (5월 1일 이후 전환시는 전환일부터)

 

 

 

 

2. K-패스 신규 가입

신규 가입자는 5월 1일부터 케이패스 누리집이나 모바일앱에서 11개 카드사를 통해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.

 

 

 

☑️ K패스 카드사별 혜택 비교

 

1. BC카드

BC카드

 

BC 바로 K패스는 버스, 지하철 등의 대중교통 15% 할인은 물론, OTT/스트리밍 15%, 이동통신요금 자동이체 5%, 편의점/카페 5%, 해외이용 3% 등의 할인을 제공합니다. 또 가입 첫 해에 연회비 100% 전부를 청구할인 해준다고 합니다. 

 

2. 삼성카드

 

삼성카드는 대중교통 10% 결제일 할인, 스타벅스, 투썸플레이스, 이디야, 커피빈, 블루보틀 등 커피전문점 20%, 넷플릭스, 디즈니플러스, 웨이브, 티빙, 멜론, 유튜브프리미엄등의 디지털 콘텐츠와 쿠팡 와우, 네이버플러스 멤버십 20%할인을 제공합니다. 이외에도 삼성카드는 쿠팡, SSG 닷컴, 무신사 등의 온라인 쇼핑 3% 할인도 가능합니다. 

삼성카드

 

3. 신한카드

신한카드

 

신한카드는 기본 대중교통 10%, 배달앱, 편의점, OTT, 병원/약국, 이동통신요금 자동이체, 신한 쏠페이, 삼성페이 등 간편결제 시 5% 할인을 제공합니다. 

 

4. 우리카드

우리카드

 

우리K패스는 전국 어디서나 대중교통 10% 할인을 기본제공하며, 통신, 공과금, 렌탈, 보험, 학습지 등의 주요 자동납부 업종과 스타벅스 10% 할인을 제공합니다. 그 외 롯데월드, 에버랜드, 이월드, 경주월드 등의 놀이공원 자유이용권 50% 현장할인도 받을 수 있습니다. 

 

K-패스 

 

반응형